동적라우팅 프로토콜에서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중 하나인 RIP를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을 알아보겠습니다. 동적 라우팅은 DVRP(줄여서 썼습니다.)와 Link-State 방식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거리에 따른 하나는 링크상태에 따른 경로결정 방식이라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지하철로 예를 들면 편하게 이해할 수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되어 있는데 경로가 두가지로 갈 수 있습니다. A에서 B로 한가지는 3정거장을 거쳐서 가는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5정거장을 거쳐 갑니다. 일단 육안으로 보아도 거리상으로 5정거장을 가더라도 2번루트를 선택하는것이 빨라보입니다. 1번루트의 장점은 정거장 수가 적다는거? 정도입니다. 결과먼저 말하자면 거리벡터 라우팅은 3정거장으로가는 1번 루트를 선택하고 Link-State 는 5정거장을 가는 2번루트를 선택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거리벡터 프로토콜은 정거장 수(Hop count)로 경로를 결정하게 되고, Link-State 프로토콜은 여러가지 상황을 보아 최적화된 경로로 설정하게 됩니다. 우선은 거리벡터 프로토콜인 RIP 프로토콜을 설명할것이기 때문에 Link-State 프로토콜은 다음에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거리벡터 프로토콜에 대해 조금 더 깊숙히 알아보겠습니다. Hop Count를 통해 전달한다고 하였는데, A라우터와 B라우터는 서로 인접해 있기때문에 Hop Count가 1이됩니다. 이런식으로 인접라우터에게 전달하면서 Hop Count를 늘리게 되고 Hop Count가 16이 되면은 더 이상 쓸 수 없게 됩니다. A라우터와 C라우터는 Hop Count가 2가 됩니다. B가 C에 인접해 있어서 전달하면 해당 라우팅테이블에서 갱신을 하여서 Hop Count가 증가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조금더 편하실 겁니다.
*A, B, C, D 는 각 네트워크 입니다. 직접연결된 네트워크에는 홉카운트가 0입니다.
1 라우팅 테이블 | 2 라우팅 테이블 | 3 라우팅 테이블 | |||
A | 0 | B | 0 | C | 0 |
B | 0 | C | 0 | D | 0 |
|
|
|
| ||
|
|
|
|
*인접한 라우터간 라우팅테이블을 교환하게 되는데 인접라우터의 홉카운트에 +1을 하게되고 중복되는 네트워크의 정보는 받지 않습니다.
<라우팅 테이블 정보 교환>
1 라우팅 테이블 | 2 라우팅 테이블 | 3 라우팅 테이블 | |||
A | 0 | B | 0 | C | 0 |
B | 0 | C | 0 | D | 0 |
C | 1 | A | 1 | B | 1 |
D | 1 |
*라우팅 테이블을 다 교환한 모습입니다.
1 라우팅 테이블 | 2 라우팅 테이블 | 3 라우팅 테이블 | |||
A | 0 | B | 0 | C | 0 |
B | 0 | C | 0 | D | 0 |
C | 1 | A | 1 | B | 1 |
D | 2 | D | 1 | A | 2 |
이러한 거리벡터 프로토콜중 RIP 라는 프로토콜이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모든 라우터에서 사용가능합니다.(단적인 예를 들어 Cisco사의 EIGRP 프로토콜의 경우, 다른회사는 이 프로토콜을 쓸 수가 없습니다.) 이 RIP 프로토콜은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쓰고 대형네트워크에서는 쓰기가 힘듦니다.(대형 네트워크의 끝부분에는 쓸 수 있습니다.) 일단 거리벡터의 한계인 Hop count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한계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면 RIP는 라우팅 정보전송을 UDP 포트 520번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RIP 프로토콜에서는 각 라우터간에 변경사항이나 업데이트 내용을 전달하게 되는데 RIP는 다른 조건 필요없이 30초마다 인접한 라우터에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됩니다. 이 30초를 Convergence Time이라고 합니다. 장애를 빨리 조치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기 위해서는 이 컨버젼스 타임이 빠른것이 좋습니다. RIP는 컨버젼스 타임이 느린편이라서 라우팅 루프장애가 발생하게 되는데 해당내용은 다음에 발생원인과 해결책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은 RIP는 두가지 버젼이 있는데 V1과 V2가 있습니다.
*V1 : 서브넷 마스크 정보가 없습니다. VLSM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정보전송을 브로드캐스트로 하기 때문에 상관없는 다른 장비들도 부하가 걸리기 쉽습니다.
*V2 : V1보완 버젼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서브넷 마스크 정보가 있고, VLSM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보 전송을 멀티캐스트 방식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장비에 피해를 주지 않고 보안적으로도 인증을 하기때문에 보안성도 높습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Routing Protocol(EIGRP) (0) | 2017.01.05 |
---|---|
6. Routing Protocol_2(RIP) (0) | 2016.12.28 |
4. Routing Protocol (0) | 2016.12.21 |
3. IP 주소 (0) | 2016.12.19 |
2. 네트워크 OSI 7 Layer (0) | 2016.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