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2. 네트워크 OSI 7 Layer

by Choraengyi 2016. 12. 17.

 OSI 7 Lay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SI 7 Layer 는 ISO 기구가 발표한 것으로서 통신이일어나는 7단계를 정해놓은 것입니다.


굳이 단계를 나누어놓은 이유는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애 발생시 해당단계에 해당하는 검사를 시행하는 것 등), 네트워크에 대한 장비 표준을 잡을 수 있고, 또한 통신의 단계를 더욱 이해하기 쉬운 등 여러 장점이 많습니다.


실행계층

(Application Layers)

응용(Applica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응용프로그램)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메일 서비스 프로그램 등이 있습니다.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서 해당 프로토콜에는 HTTP(80), DNS(53), FTP(21), Telnet(23) 등이 있습니다.

 표현(Presentation)

 데이터의 형식을 결정하는 계층입니다. 암호화, 복호화 기능이 수행되고,

 흔히 아는 그림파일의 JPEG, GIF 동영상의 AVI, MPEG 등 데이터의 형식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로서 사용자는 어떤 형식의 데이터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세션(Session)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쪽 사이에 가상 통신경로를 확보하여 그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계층입니다. 쉽게 말해 두 단말의 통신경로를 관리하는 계층이라고 생각하면 될거 같습니다. 

데이터흐름 계층

(Data Flow Layers)

전송(Transport)

 정보를 분할 하고 받는쪽에게 다시 합치는 과정을 하는 계층으로서 오류제어, 흐름제어, 중복검사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해당 프로토콜에는 TCP(신뢰성, 연결), UDP(비신뢰성, 비연결) 가 있습니다.

네트워크(Network)

 라우터가 동작하는 계층으로서 IP주소를 통한인식, 패킷의 이동경로를 담당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논리적 주소를 정의합니다. 해당 프로토콜에는 IP, ICMP, IGMP  등이 있습니다.

데이터링크(Data Link)

 두 시스템간 물리적통신을 위한 경로 확보와 오류제어 흐름제어등의 기능을 가진 계층입니다. 프레임을 안전하게 전송하는것이 목적으로 해당 장비에는 스위치와 브리지가 있습니다. Mac 주소를 통해 인식할 수 있습니다.

 물리(Physical)

 두 단말간의 전기, 기계적인 연결을 정의 하는 계층으로서 케이블 종류, 핀 배치, 전압 등의 구체적인 기계적 사항들을 결정합니다. 해당 장비는 리피터 허브가 있습니다.


 통신원리는 보내는 장비 A와 받는 장비 B가 있다고 가정할때, A의 최상위 계층인 응용계층에서 시작해 물리계층까지 내려가고 전기신호로 바뀐 데이터가 B 장비 사용자에게 도달하면서 물리계층으로 부터 응용계층으로 변하면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바뀌는 과정입니다. 


--------------->---------------------->------------------>------------------->---------------->--------------->---------->

응용

표현 

세션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응용 


 전송계층부터 시작해서 각 데이터에 각 계층의 헤더가 붙어서 보내지고 각 헤더가 떨어지면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응용 데이터로 변환됩니다. 이러한 세부내용에 대해서는 패킷 분석할때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OSI 7 Layer 의 정리는 이정도로 하고 가장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TCP/IP의 계층모델도 살펴 보겠습니다.


TCP/IP 모델은 표준 모델은 아니지만 산업계에서 거의 다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OSI 7 Layer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하고 실제로 많이사용되는것은 이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4계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OSI 7 Layer의 기능을 약간 합쳐놓은 계층이라고 보면 될거 같습니다.


OSI 7 Layer

TCP/IP Layer 

설명

응용(Application)

응용(Application) 

  응용+표현+세션 계층이 합쳐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3개를 합침으로서 효율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표현(Presentation)

세션(Session)

 전송(Transport)

전송(Transport) 

 논리적연결담당으로서 OSI 7 전송계층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네트워크(Network)

인터넷(Internet) 

 Internet Protocol(IP)로서 경로설정과 패킷 스위칭을 담당합니다. OSI 네트워크 계층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데이터링크(Data Link)

네트워크접속(Network access) 

 데이터링크+물리 계층이 합쳐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리(Physical)


TCP/IP 는 실질적으로 구현되있고 많이 운영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습니다. 위에 써놓은 대로 OSI 7 으로 토대를 잡고 실질적으로는 TCP/IP 를 쓴다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네트워크의 표준 계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Routing Protocol_2(RIP)  (0) 2016.12.28
5. Routing Protocol_1(RIP)  (0) 2016.12.23
4. Routing Protocol  (0) 2016.12.21
3. IP 주소  (0) 2016.12.19
1. 네트워크 기초  (0) 2016.12.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