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기본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1. arp
ARP Cache 를 관리하는 명령입니다. ARP Cache 는 흔히 알고 있듯이 IP 주소를 MAC 주소로
바꾸어서 기억하는 곳입니다.
사용법
arp [옵션]
옵션 |
의 미 |
-a |
ARP Cache 의 정보에서 특정호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
-d |
ARP Cache 에서 해당 호스트 정보를 제거합니다. |
-n |
정보를 IP 주소로 출력합니다. |
-v |
자세히 출력 합니다. |
출력 명령이라 간단하게 넘어가겠습니다. 아래와같이 arp 캐시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dig
도메인으로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입니다. 예를 들면 www.google.com 의 정보를 알고 싶으면
dig 명령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dig [옵션] 도메인
*옵션
-t : 질의 타입을 지정합니다. A, MX, NS 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A 입니다.
**A : IP조회, MX : 메일 서버, NS : 네임 서버
-t ns 로 해서 google.com의 네임서버를 조회해 보았습니다.
가린부분은 제 IP주소 입니다. 아래부분엔 요청한 호스트, 반응시간, 요청시간 등의 정보가
출력됩니다.
옵션 없이 사용하면 자동으로 IP주소 (A) 가 출력 됩니다.
3. ethtool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 출력 및 관리 명령입니다.
사용법
ethtool [옵션] 인터페이스
*옵션
-s :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옵션 입니다.
ethtool 명령으로 eth0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출력하였습니다.
셋팅은 기본적으로 speed, Duplex, auto-negotiation 을 설정을 많이 합니다.
ethtool -s eth0 speed 100 duplex full autoneg on
위와 같은 방식으로 eth0의 속도는 100Mb/s, 전이중통신, 원격링크와의 자동 맞춤을 가집니다.
그 외에도 WOL 서비스를 우분투에 적용시킬 수도 있습니다.
2016/11/21 - [Server/리눅스] - 우분투 스마트폰으로 원격 부팅
4. host
dig와 비슷한 명령으로 도메인명으로 정보를 조회 하는 명령입니다.
사용법
host [옵션] 도메인
옵션 |
의 미 |
-a |
도메인의 정보를 타입값(A, MX, NS) 위주로 자세히 출력 |
-t |
질의 타입을 지정합니다. A, MX, NS 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A 입니다. |
-v |
도메인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
host 역시 기본값은 ip 주소로 되어 있습니다. dig와 비슷하게 -t 옵션 뒤에 보고자 하는 타입을
대소문자 구별없이 쓰고 도메인명을 쓰면 해당 정보가 출력 됩니다.
5. hostname
시스템에 설정된 호스트네임을 출력하는 명령입니다.
옵션 |
의 미 |
-a |
호스트명의 별명을 출력합니다. |
-d |
호스트명의 도메인명을 출력합니다. |
-f |
풀 호스트네임을 출력합니다. |
-i |
호스트네임에 설정된 ip를 출력합니다. |
vmware 에서 가볍게 돌리기만 하는거라 설정된게 딱히 없습니다.
hostname 명령으로 해당 호스트네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6. nslookup
도메인 네임 서버를 이용해 해당 도메인의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 입니다. 대화형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옵션을 사용해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옵션
-type='타입' : 원하는 타입(A가 기본, MX, NS)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옵션을 사용하여 google.com의 정보를 조회 하였습니다. 아래처럼 -type=ns 를
사용하여 다른 타입의 정보도 조회 가능합니다.
대화형 명령에서는 > 다음에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만약 타입을 지정하고 싶으면
프롬프트에 'set type=ns' 이런식으로 입력해서 타입을 바꾸어 주시면 적용됩니다.
DNS 서버 변경시에는 'server 8.8.8.8' 이런식으로 변경해 주시면 적용됩니다.
대화형 종료시에는 'exit' 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7. ping
유명한 명령어 입니다. 간단히 설명을 하면 ICMP(인터넷 제어 메세지 프로토콜) 을 사용하여
해당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패킷을 주고받는 시간을 출력하고, 네트워크
의 장애여부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ing Flood 공격에도 사용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방화벽에서 ICMP 프로토콜을 차단하거나 특정 로컬을 제한하는 등 여러 방법으로 보안을
높이고 있습니다.
사용법
ping [옵션] 도메인 또는 IP
옵션 |
의 미 |
-c |
패킷의 개수를 지정해서 보냅니다. |
-i |
패킷 전송의 시간 단위입니다. 초단위로 되며 -i 3 은 3초마다 패킷을 보냅니다. |
-s |
전송 패킷의 단위(byte) 입니다. ICMP 헤더(8byte) 포함하여 기본값은 64byte 입니다. |
-w |
ping 명령 실행 시간입니다. |
-c 옵션을 사용하여 2번 패킷을 전송하는 옵션을 붙였고, -s 옵션을 사용하여 패킷의 사이즈를
100+8(ICMP 헤더)=108byte로 하여 조정하였습니다.
아래 명령은 -w 4 로 해서 4초간 수행되도록 하였습니다.
8. traceroute
패킷이 해당 호스트까지 가는 과정을 출력합니다. 가는 길에 장애를 발견하기 좋은 명령입니다.
traceroute 에 관한 예시는 해당 URL에 설명이 잘되어 있습니다.
https://docs.oracle.com/cd/E26925_01/html/E25873/ipv6-admintasks-72.html
나머지 네트워크 명령어는 다음에 이어서 하겠습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Linux 기본 명령어(파일시스템 관련) (0) | 2016.12.02 |
---|---|
12. Linux 기본 명령어(네트워크 관련)_2 (0) | 2016.11.30 |
Linux 디렉터리 구조 (0) | 2016.11.27 |
Linux 허가권(Permission) (0) | 2016.11.22 |
10. Linux 기본 명령어(압축관련) (0) | 2016.11.19 |
댓글